본문 바로가기

강연/비주얼씽킹

(4)
마인드맵 정보들이 체계적이고 구조적이면 마인드맵으로 만들었을 때 구조적으로 정리될 수 있다. 머릿속에 떠오르는 느낌, 생각, 아이디어, 정보, 해야할 일 등등을 지도모양, 방사형으로 표현한 것이다. 연구결과 인간의 뇌는 방사형의 구조 위에 그림, 색상, 문자, 기호를 함께 썼을 때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오랫동안 기억한다. 그 모양을 따서 만든 것이 마인드맵이다. 중심 이미지, 주가지, 부가지, 작은 그림(썸네일) -> 정보가 가득한 책을 마인드맵으로 만들면 어떨까? -> 규칙 책 마인드맵을 써야 하는 이유 뇌량은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곳, 좌뇌와 우뇌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데, 우뇌가 좌뇌보다 1000배 정도 강력하다. 우리의 교육은 늘 좌뇌 위주로 한다. 평가가 쉽기 때문이다. 좌뇌와 우뇌를 함께 쓰는 활동..
비주얼씽킹 활용법 어떻게 하면 사람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끌어낼 수 있을까? 1. 도형을 그릴 때그래픽 써머리: 간단하게 글과 그림으로 정보를 요약하는 것글과 그림을 섞어 자료집을 만들었더니 사람들이 좋아했다.어떤 사람은 기억에 남는 영화를 그림으로 정리했다.
비주얼씽킹의 장점 1. 간단하게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최종적인 발표자료가 아니라면 우리가 생각한 것을 간단하게 시각적으로 표현할 때 종이에 쉽고 빠르게 표현할 수 있다. 2. 전체 흐름을 알 수 있다.어느 회사의 출판 프로세스를 표현한 것이다. 한눈에 보이게 파워포인트로 표현한다면 쉽지 않을 것이다. 전체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다. 3. 말이 통하지 않아도, 어린 아이나 나이가 많아도 이해할 수 있다.-> 사람들은 글자가 빽빽하면 힘들게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면 결정을 빨리 한다.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알려주거나 설명하거 설득할 때 글과 그림을 함께 쓸 때 도움이 된다.
비주얼씽킹이란? 정진호 J비주얼스쿨 대표 비주얼 씽킹: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전하는 일 그림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쉽게 전달하고, 복잡한 정보를 구조화 해서 표현할 수 있는 마인드맵 등 영화를 찍을 때 감독이 자기 마음대로 막 찍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어느 위치에 있고, 소품은 어디에 있는지 서로 이야기를 한 후 촬영을 한다. 그때 사용하는 것을 콘티라고 한다. 콘티에는 간단한 그림과 글이 써있다.복잡한 장면이라도 핵심은 단순하다. 간단한 정보를 그림과 글로 표현하는 것을 비주얼 씽킹이라고 한다. 우리가 생각한 것을 빠르고 간단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그림을 그린다고 하면 그림을 못그린다고 한다. 그림을 못그리는 사람도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처럼 보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인간의 5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