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4)
행동주의 학습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Behavioral learning theories) - 파브로, 스키너, 험, 손다이크 - 유기체의 자극과 반응 사이에 연합을 의미하는 조건화가 학습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본다. - 인간에 대한 결정론적, 기계론적 관점을 가진다. 즉 인간은 주어진 자극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학습하는 존재이며 자극이 반복적으로 주어짐에 따라 반응이 누적되면서 학습이 일어난다고 본다. 기 [핵심 원리] - 반응이 일어났을 때 즉시 자극을 제시하는 접근성의 원리 -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연습과 학습을 강조하는 반복의 원리 - 학습자의 행동에 대하여 그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판단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피드백 - 잘한 것에 대하여 칭찬하고 보상을 제공하는 직접 강화 또는 잘못된 행동을 사라지게 하는..
중재교육과 비고츠키_배움 배움 배움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은 철학에서도 있다. 교육학과 철학 둘 다 인간 존재에 관한 학문이기 때문이다. 배운다는 것은 무엇인가? = 인간은 무엇인가? ① 기계적이고 기능적인 관점(행동적인 이론의 관점) - 정보 차원의 지식을 축적하는 기능적이며 기계적인 교육 ②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들의 연결뿐 아니라 그들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구조적 관점(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의 관점) - 객관화 과정으로 참 지식을 습득하는 사유와 성찰의 교육 - 지적 사고발달을 목표로 사유와 지적 성찰의 교육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원리 1) 개념의 종료 - 이상적(자발적)개념: 학습자 스스로 일상적 경험을 통해 구성된 개념 - 과학적 개념: 학교에서 가르치는 일반적인 개념 2) 인지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중재교육과 비고츠키_서문 ​중재교육이 어떤 면에서 배움을 촉진시키는가 -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학습자에 미치는 영향 - 메타인지는 학습자들이 학습할 때 실행하는 인지과정들을 의식적인 방식으로 내면화 시키는 능력이다. - 수업에서 이론과 실제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가를 이해해야 한다. - 교사는 질문해야 한다. 배움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하는 것이 배움이 있는 수업인가? ​문제파악과 문제 해결 그리고 지적성찰 - 교육이 한 개인에게 제공해야 하는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문제해결 능력이다. - 먼저 문제 파악을 전제로 한다. - 교육생들 대부분은 과제를 푸는데 필요한 문제파악을 하려는 노력 없이 아예 해답을 요구하거나 문제를 파악하지 않은 채 답을 하곤 했다. 문제 파악에 필요한 생각과 시간을 갖지 않고 답을 ..
사고교육 모임 | 다르게 생각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 20191126 6pm-9pm 관찰(사실 묘사) - 분석 - 이야기에서 어떤 문제가 발견되는가? - 해결방식(논리적인 근거) - 성찰(나의 일상에서 성찰 / 사회에서 성찰) ​개인작업 4컷의 그림이 그려진 Illustrations을 자료로 주셨다. 그 장면을 보고 개인작업(위에 내용을 정리하는)을 하라고 하셨다. ​관찰 첫번째 장면 ⁃코끼리 한 마리가 있다. ⁃개구리 두마리가 있다. ⁃나무가 있다. ⁃개구리의 시선은 코끼리 쪽을 향해 있다. ⁃개구리, 버섯, 줄, 꽃이 빨간색이다. ​두번째 장면 ⁃개구리가 장면을 떠올리고 있다. ⁃그 장면에는 코끼리가 있고 개구리는 앞다리로 어딘가를 가리킨다. ⁃장면을 떠올리고 있는 개구리는 배를 만지고 있다. ⁃다른 개구리는 버섯 위에 있다. ⁃장면 1의 버섯이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