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재교육이 어떤 면에서 배움을 촉진시키는가
-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학습자에 미치는 영향
- 메타인지는 학습자들이 학습할 때 실행하는 인지과정들을 의식적인 방식으로 내면화 시키는 능력이다.
- 수업에서 이론과 실제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가를 이해해야 한다.
- 교사는 질문해야 한다. 배움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하는 것이 배움이 있는 수업인가?
문제파악과 문제 해결 그리고 지적성찰
- 교육이 한 개인에게 제공해야 하는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문제해결 능력이다.
- 먼저 문제 파악을 전제로 한다.
- 교육생들 대부분은 과제를 푸는데 필요한 문제파악을 하려는 노력 없이 아예 해답을 요구하거나 문제를 파악하지 않은 채 답을 하곤 했다. 문제 파악에 필요한 생각과 시간을 갖지 않고 답을 함으로써 문제와 전혀 관계없는 답을 한다.
-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생각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계적으로 답에만 몰두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파악과 문제해결에 필요한 사유과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지 않고 현상이나 증상을 문제라고 보는 경우 증상이나 현상은 보는 이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남으로 각자 문제를 다르게 볼 수 있으며 이해관계까지 얽히면 더 복잡해지고 문제해결은 요원해진다.
- 교육의 중요한 역할은 문제파악을 위해 지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지적시선을 넓혀주는 것이다.
-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될 경우 ‘학습된 무기력’으로 문제해결의 시도를 잃는다.
각자 받은 중재교육에 따라 중재교육 실천방식이 어떻게 다를 수 있는가
- 과정, 즉 교사와 학습자 사이 그리고 학습자들 서로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질이 있다.
- 전수할 지식 내용을 명확히 규정하고(교과과정) 그것을 스스로의 생각으로 답을 찾는 방법으로 수업(수업방법)해야 한다.
- 수업 방식은 기계적으로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추상화 학습에 기초한 객관화 과정의 방식으로 이뤄져야 하고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지식을 객관화 할 수 있어야 한다.
중재교육의 원리는 비고츠키에서 시작하여 브루너로 계승된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 배경에서만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학습자의 학습문제가 아무리 클지라도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과 학습자 자신에게 지식을 구성하고 습득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믿는다.
변화에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제기
- 교육의 정체성을 위해 학교 교육을 수업 중심 체제로 바꾸자 한다면 무엇보다 교육의 정체성과 수업에 대해 규명해야 하고, 이에 따라 학교와 수업의 관계는 무엇인지, 학교와 수업의 무엇이 문제인지, 그래서 무엇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성찰과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교육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 학습이론 (0) | 2019.12.07 |
---|---|
중재교육과 비고츠키_배움 (0) | 2019.12.07 |
사고교육 모임 | 다르게 생각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0) | 2019.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