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
배움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은 철학에서도 있다. 교육학과 철학 둘 다 인간 존재에 관한 학문이기 때문이다. 배운다는 것은 무엇인가? = 인간은 무엇인가?
① 기계적이고 기능적인 관점(행동적인 이론의 관점)
- 정보 차원의 지식을 축적하는 기능적이며 기계적인 교육
②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들의 연결뿐 아니라 그들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구조적 관점(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의 관점)
- 객관화 과정으로 참 지식을 습득하는 사유와 성찰의 교육
- 지적 사고발달을 목표로 사유와 지적 성찰의 교육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원리
1) 개념의 종료
- 이상적(자발적)개념: 학습자 스스로 일상적 경험을 통해 구성된 개념
- 과학적 개념: 학교에서 가르치는 일반적인 개념
2) 인지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학습, 대화, 어른
3) 원리
- 발생적 발달 법칙에 의하면, 모든 복잡한 기능은 사람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시작해서 점차적으로 의미를 획득하고 학습자에 의해 내면화 된다.
'교육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 학습이론 (0) | 2019.12.07 |
---|---|
중재교육과 비고츠키_서문 (0) | 2019.12.07 |
사고교육 모임 | 다르게 생각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0) | 2019.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