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아직도 가야 할 길

(9)
3-3 과감히 도전하자 진실에 충실한 삶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첫째로 계속적이고 끊임없이 엄중한 자기 성찰을 하는 삶을 의미한다. 우리는 우리가 세상과 관계하고 있는 방식을 통해서만 세상을 알게 된다. 따라서 세상을 알려면 우리는 세상을 잘 살펴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세상을 살펴보고 있는 자신을 살펴야만 한다.
3-2 전이: 낡은 지도 현실을 보는 낡은 견해에 고집스러운 집착을 보이는 것은 더 심각한 정신질환의 원이 된다. 정신과 의사들은 이를 일컬어 전이라고 한다. 아이들은 자기 부모가 하는 방식은 세상 모든 사람들이 하는 방식이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우리 부모를 믿을 수 없다.”는 현실 인식은 “나는 사람들을 믿을 수 없다.”는 것으로 나아간다. 진실이나 현실이 고통스러울 때는 피하게 마련이다. 우리 자신의 지도를 개편하려면 그러한 고통을 극복할 수 있는 훈련을 해야만 한다. 그런 훈련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전적으로 진실에 충실해야 한다. 현재의 편안함보다 궁극적으로 옳은 일들을 추구하기 위해 우리는 언제나 진실 앞에 솔직해야 한다.
3-1 현실에 충실하자 진실이란 현실 그대로이기 때문에, 우리가 세계의 현실을 명확히 볼수록 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는 데 보다 나은 준비를 갖추게 된다. 우리가 세상의 현실을 보는 눈이 불투명할수록, 마음이 허위, 착각, 환상에 의해 혼란스러워질수록 바른 행동에 대한 우리의 견해란 지도 같아서 그걸 지표로 삶의 모든 영역을 판단하게 된다. 만일 지도가 참되고 정확하다면 우리는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알게 되고, 어떤 곳에 가야 할 때는 어떻게 그곳에 도달할 것인지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지도가 거짓이고 부정확하다면, 길을 잃게 될 것이다. 지도 제작에 있어서 제일 큰 문제는, 아무 것도 없는 데서부터 시작해야 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지도가 정확해질 때까지 우리가 계속해서 지도를 고쳐 그려야 한다는 데 있다. 현실은 계속..
2-2 노이로제와 성격장애 신경증인 사람은 너무 책임을 지려 하고, 성격장애인 사람들은 응당 져야 할 책임을 지지 않으려 한다.
1-4 문제는 시간에 있다. 문제는 그대로 사라져 버리지 않는다. 문제들은 직면해서 해결을 하지 않으면 그대로 남는 것이며, 영원히 정신적인 성장과 발전의 장애물이 되고 만다. 문제를 무시해 버리는 태도는 즐거운 일을 뒤로 미루겠다는 의지가 없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자라면서 문제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고 해서 아이들의 문제를 오랫동안 무시해 버린다면, 문제는 더욱더 커지고 더 고통스럽게 되어 해결하기가 훨씬 어려워진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1-3 문제 해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시간을 들여 해보려 하지 않기 때문이죠.” 어떤 이들이 정신적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은 그들이 인생에서 필요한 지적이며 사회적이고 영적인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시간을 내지 않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1-2 이런 부모가 잘못된 것이다 자신이 지키지도 못할 약속을 하기도 하고 무질서하고 난잡한 생활을 하면서, 아이들에게는 절제된 생활을 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아무런 의미도 가질 수 없다. 아이들을 제대로 가르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아이들에게 내줄 시간이 없고 마음도 없으면, 아이들을 가까이 관찰할 수 없기에 언제 부모의 가르침이 아이들에게 필요한지도 모르게 되고, 또 그런 도움을 원하는 아이들의 무의식적인 표현을 부모가 제대로 알아차릴 수도 없게 된다. 우리가 무엇을 사랑할 때 그것은 우리에게 가치있는 것이 되고, 그것이 가치가 있게 될 때, 우리는 거기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그것을 즐기며 보호하게 된다. 사랑이 넘치는 부모들의 훈육방식은 사랑이 없는 부모들의 훈육방식보다 질적으로 낫다. 그러나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넘쳐나는 사랑으..
1-1 즐거운 일은 나중에 하자 즐거운 일을 뒤로 미룬다는 것은 하루하루의 생활 가운데서 괴로운 일과 즐거운 일을 계획적으로 짜되, 고통을 먼저 겪은 뒤 즐거움을 갖게 되면 그 즐거움을 더 잘 즐길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해야 할 일을 먼저 하는 습관이 없는 청소년들은 자기들의 충동적인 생활양식에 개입하려는 어떠한 시도에도 반항을 하게 된다. 대다수의 아이들은 즐거운 일을 뒤로 미룰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